그룹명/생활속의 종합지

주변환경에 관심을

龍潭(용담) 2007. 9. 2. 17:35

다이옥신

다이옥신, 퓨란, PCBs 등의 다이옥신과 다이옥신 유사 물질들은 물에 작 녹지 않는다.

이 화합물들은 낮은 증기압을 갖고 있다.

이것은 쉽게 가스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들은 높은 옥타놀 물 분해계수 (high octer water partition coefficieent)를 갖고있다.

이것은 우리 몸안에서 이 물질들이 소변으로 잘 배설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해서 지방에 용해되어 우리 몸안에 축적된다.

다이옥신의 이러한 특성은 먹이사슬에서 축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중의 다이옥신은 토양과 물 그리고 식물표면에 정착한다.

다이옥신이 묻은 식물이나 사료를 양, 소, 닭 등에 먹일때

다이옥신은 동물의 지방조직에 축적된다.


똑같은 일이 다이옥신으로 오염된 물속에 사는 물고기에서 일어난다.


사람들이 이러한 동물로부터 고기를 먹을때 다이옥신은 먹이사슬을 타고 올라와서 사람의 체내에 들어가게 된다.


다이옥신은 작물이나 야채의 뿌리를 통해서 흡수되지 않는다.

하지만 토양침식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고

물속으로 물 표면의 물이 내려가거나 물속에서 수생 먹이사슬에 들어감으로서 이동될 수 있다.

다이옥신이 축적되어 있는 침전물에서 다이옥신은 생물체들에 의해서 섭취되어 수생 먹이사슬 안으로 들어온다.

작은 물고기를 큰물고기가 먹고,점점 더 큰 물고기가 먹음에 따라 수생먹이 사슬에서의 다이옥신 농도가 점점 커지게 된다.

큰 물고기에서의 다이옥신 총용량은 큰물고기가 먹은 작은물고기 각각에 들어있는 다이옥신 양을 합하면 된다.

이렇게 해서 먹이사슬을 통해서 우리 인체내에 유입된다.


다이옥신과 그 유사물질들은 환경 속에서 매우 안정적이다.

그것들은 분해되지 않고 박테리아에 의해 대사되지도 않는다.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호르몬은 호르몬이 수용체에 결합하여 유전자 체계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관계로 내분비교란물질이 자연호르몬의 정상적 기능을 간섭하는

호르몬의 모방, 호르몬작용의 봉쇄, 세포반응의 촉발, 호르몬 대사에 간접 영향 등의

악영향을 미친다.


다이옥신은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극물로 독성은 1g으로 몸무게 50kg의 사람 2만명을 죽일수 있을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다이옥신은 선천적인 기형아 출산, 호르몬 관련 암 (유방암, 고환암) 반복되는 자궁 출혈과 통증, 불임, 면역기능 저하, 반복되는 감염증세, 염소성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 어린아이 발육부진, 말초신경질환, 중추신경계 질환과 연관이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표     다이옥신 배출허용기준

국     가

   기      준 

   (ng/N㎥, 독성      

   등가환산농도기준)

비     고

스웨덴, 네덜란드, 독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0.1

 

카 나 다

0.5

 

일    본

0.1

4톤/시간이상, 신설

미    국

13(PCDD+PCDF)

225톤/일이상, 신설

한    국

0.1(기존시설에 대하여는

2003. 6.30일까지 0.5)

2톤/시간이상 생활폐기물소각시설

0.1(신설), 1(기존, ’05년까지는 20)

4톤/시간 이상

1(신설), 5(기존, ’05년까지는 40)

2톤~4톤/시간 

5(신설), 10(기존, ’05년까지는 40)

0.2톤~2톤/시간

 

출처 : 환경부



1) 다이옥신이란 무엇인가?

다이옥신이란, 비슷한 특성과 독성을 가진 여러 가지 화합물들을 말한다. 75가지의 다른 형태가 있고, 이중 가장 독성이 강한 것이 2·3·7·8-사염화디벤조-파라-다이옥신(일명 TCDD)이다. 우리가 보통 다이옥신이라는 말을 사용 할 때는 다이옥신과 다이옥신 유사물질들을 총칭해서 말하는 것이다.

다이옥신의 독성은 1g으로 몸무게 50kg의 사람 2만명을 죽일 수 있을 정도이며, 청산가리보다 1만배나 강한 독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다이옥신이 문제가 되기 시작한 것은 베트남전쟁에서 고엽제로 알려진 제초제에 다이옥신이 불순물로 함유되었고, 이에 폭로된 참전군인들과 그 2세들에서 여러 가지 건강장애가 나타나서 1990년대 초반부터 이 물질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최근에는 쓰레기 소각장에서 다이옥신의 과다한 유출로 시민들의 관심을 갖게되었고, 지난 97년 4월에는 마산만의 어패류에서 규정치보다 310만 배나 높은 다이옥신이 검출되어 문제로 부각 되고 있는 독성화학물질이다.

다이옥신은 일반적으로 제조되거나 사용되는 물질은 아니다. 보통 염소나 브롬을 함유하는 산업공정에서 화학적인 오염물로서 생성되고, 또 염소가 들어있는 화합물을 태울 때 생긴다. 다이옥신 자체는 실제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2) 다이옥신은 어디에서 생기나?

다이옥신은 쓰레기를 태울 때 제일 많이 생긴다.

특히 PVC제재가 많이 포함되어있는 병원폐기물과 도시쓰레기를 태울 때 제일 많이 나온다.

자동차 배기가스, 화력발전소, 제지 및 펄프산업, 철강산업 등 염소 및 브롬을 사용하는 산업공정에서 발생될 수도 있다. 농약이 뿌려진 수풀이나 산림의 화재로 다이옥신이 발생할 수 있고, 심지어는 담배연기에서도 다이옥신이 발생된다.


3) 소각시설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량

목동소각시설 거주주민이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의 1일 최대흡입농도는 7.08×10-4pg/kg·day로서 공기를 통하여 흡입되는 다이옥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 가능

그러나, 다이옥신은 축적성이 높아 먹이사슬과 음식물을 통하여 인체에 축적되므로, 소각장시설에서의 배출 다이옥신 문제는 소각장 주변지역 주민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국민 전체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함

·소각시설 배출 다이옥신량의 개략적 산정

'96년 현재 우리나라 쓰레기소각시설에서 배출 되는 다이옥신량은 1일 0.047g 배출되어 연간 17.2g 배출


4) 왜 다이옥신이 그렇게 위험한 물질일까?

다이옥신은 자연계에 한 번 생성되면 잘 분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토양이나 침전물들 속에서 축적되고 생물체내로 유입되면, 수십년 혹은 수백 년까지도 존재할 수 있다. 다이옥신은 물에 잘 녹지 않는다. 그래서, 생물체 안으로 들어온 다이옥신은 오줌으로 잘 배설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이옥신은 지방에는 잘 녹는다. 그래서, 생물체의 지방 조직에 잘 축적된다. 물고기, 가재, 하늘을 나는 새들, 포유류, 그리고 사람들은 물을 마시거나, 숨을 쉬거나 음식을 먹음으로서 다이옥신을 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사람은 먹이사슬의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동물들이 먹은 다이옥신은 최종적으로 사람의 몸속에 축적되는 것이다. 한 번 생성된 다이옥신은 좀처럼 없어지지 않고 우리 몸에 축적되면서, 장기적으로 건강 장애를 일으키는 것이다.


5) 다이옥신은 어떻게 우리 몸 안으로 들어오나?

사람은 음식물을 통하여 97∼98%의 다이옥신을 섭취하고 있으며, 호흡을 통한 섭취는 2∼3%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고기와 낙농 유제품, 우유, 닭고기, 돼지고기를 통해 섭취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식수를 통한 섭취는 무시해도 좋은 수준이다. 이외에도 염소 표백된 종이제품에서도 다이옥신이 검출되기 때문에 음식물 포장재로부터 음식에 오염되는 것도 생각해야 한다. 또 담배연기를 통해서도 다이옥신이 섭취될 수 있다.


6) 그렇다면 호흡에 의한 섭취는 2∼3% 밖에 안되는데 왜 쓰레기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이 문제가 되는 것인가?

다이옥신은 쓰레기를 태우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만 98.8%나 된다. 한마디로 쓰레기 소각은 다이옥신 발생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쓰레기 소각을 줄이는 방법만이 다이옥신의 새로운 생성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또 하나 중요한 점은 우리가 호흡을 통하여 흡수하는 다이옥신은 2∼3%에 불과하지만 육류 및 낙농제품 등을 통해 섭취한다는 나머지 97%의 다이옥신은 어디서 오는 걸까?

소각장에서 생성되는 다이옥신들은 모두 어디로 가는가?

우선 가까운 지역사회 내에 퍼지면서 대기를 오염시키고, 산림자원, 농산물, 토양 등을 오염시킬 것이다. 다이옥신은 물에 잘 녹지 않고, 지방에 잘 녹는 성질이 있어 물에 금방 씻겨 내려가기 때문에 우리가 먹는 물이나 채소들에서는 거의 무시해도 좋다. 씻겨 내려간 다이옥신은 강이나 해양을 오염시키게 된다. 강이나 연안 해양의 바닥에 침전물이 쌓여 오염이 밑바닥에서 심해져 어패류에 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또 작은 물고기가 섭취한 다이옥신은 물고기의 체내 지방조직에 축적되고, 먹이 사슬을 통해 점차 큰물고기에 점점 더 많은 양의 다이옥신이 축적되게 된다. 육지에서도 소, 돼지, 양, 닭 등의 가축에 오랜 시간에 걸쳐 다이옥신의 축적이 지방조직에서 이루어지고, 계란이나, 우유에도 다이옥신이 축적 된다. 사람은 육류나 어패류 및 낙농제품의 최종 소비자이기 때문에 먹이사슬을 통해 축적된 최고로 높은 양의 다이옥신을 섭취하게 된다. 사람 중에서도 젖먹이 아이는 최후의 소비자이기에 다이옥신의 섭취량은 가장 높을 수밖에 없다.


7) 다이옥신은 우리 몸안에서 어떻게 우리 몸을 손상시키는가?

다이옥신이 우리 몸 안으로 한 번 들어오게 되면, 다이옥신 분자는 세포조직내에 있는 특별한 수용체 부위에 달라 붙게 된다. 이 자리는 원래 정상적으로는 호르몬이나 효소들이 우리 몸의 어떤 활동들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곳이다.

다이옥신이나 그 유사물질들이 호르몬이나 효소들 대신에 이 자리를 차지하고 나면, 정상적인 세포 기능은 제대로 수행될 수가 없다. 호르몬의 작용, 발육과 생식, 면역기능등은 이같은 수용체 부위의 작용 기능이 손상에 아주 예민해서 많은 건강장애가 일어나게 된다.


8) 다이옥신은 인체에 어떠한 문제를 일으키는가?

다이옥신은 가장 강력한 발암물질로서 폐암, 간암, 임파선암, 혈액암, 유방암, 고환암, 전립선 암 등 암발생율을 높인다. 불임, 출생시 장애, 기형, 발육장애 등 심한 생식계장애와 발달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면역계의 손상으로 여러 가지 전염성 질환에 잘 걸릴 수도 있고, 또 호르몬의 조절기능에 손상이 일으킬수도 있다.

그 외에 간장·신장의 파손, 당뇨 및 갑상선 질환, 피부병, 기형아, 유전자 이상, 성격 이상, 정서 불안 등을 일으키거나, 고환 크기의 감소, 당조절 능력의 변화, 자궁내막증, 정자수 감소, 남성호르몬 감소 등이 올 수 있다고 한다.

9) 소각장에서 생성되는 다이옥신들은 모두 어디로 갈까?

      (환경에 미치는 영향) 

 

우선 가까운 지역에 퍼지면서 대기를 오염시키고, 산림자원, 농산물, 토양 등을 오염시킨다. 다이옥신은 물에 잘 녹지 않고 지방에 잘 녹는 성질 이 있어 물에 금방 씻겨 내려가기 때문에 우리가 먹는 물이나 채소들에서는 거의 무시해도 좋다. 씻겨 내려간 다이옥신은 강이나 해양을 오염시킨다. 강이나 연안해양의 바닥에 침전물이 쌓여 오염이 밑바닥에서 심해져 어패류를 오염시킨다. 또 작은 물고기가 섭취 한 다이옥신은 물고기의 체내 지방조직에 축적되고 먹이 사슬을 통해 점차 큰 물고기에 점점 더 많은 양의 다이옥신이 축적된다. 육지에서도 소, 돼지, 양, 닭 등의 가축에 오랜 시간에 걸쳐 다이옥신의 축적이 지방조직에서 이루어지고 계란이나, 우유에도 다이옥신이 축적된다. 사람은 육류나 어패류 및 낙농제품의 최종 소비자이기 때문에 먹이사슬을 통해 축적된 최고로 높은 양의 다이옥신을 섭취하게 된다. 사람 중에서?! ? 젖먹이 아이는 최후의 소비자이기에 다이옥신의 섭취량은 가장 높을 수밖에 없다.

<!-------내용출처------->
내용출처 : [인터넷] http://greenchrist.org/old/envda/diox.htm


생선도 다이옥신 오염 심각…내장에 더 많다
SBS TV | 기사입력 2007-06-13 20:52 기사원문보기
<8뉴스>

<앵커>

다이옥신이 나온 생선들은 대부분 우리 국민이 즐겨 먹는 것들인데 특히 내장이 문제였습니다.

계속해서 정호선 기자입니다.

<기자>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연근해 생선 25종 등 수산물 35종의 다이옥신 잔류량을 조사했습니다.

수산물에 잔류하는 다이옥신 성분 29가지의 독성값을 구한 결과 우럭 내장에서 19.48피코그램 티이큐, 간에서 19.25피코그램 티이큐, 그리고 대게 내장에서는 7.27 피코그램 티이큐가 검출됐습니다.

생선살에 비해서 내장의 다이옥신 검출량이 몇십 배 이상 높았습니다.

어류의 다이옥신 기준치를 갖고 있는 유럽연합의 기준치인 8피코그램 티이큐와 비교할 때 심각한 수준입니다. 

다이옥신 각 성분의 독성값을 감안하지 않은 단순 총합은 우럭 간이 62.88 내장 20.03, 대게 내장 43.60, 꽃게 내장 29.72, 멸치 내장 19.93, 광어 간이 13.94 피코그램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이옥신 섭취량으로 볼 때 우럭 간 1g을 먹으면 담배 9갑을 피운 셈입니다.

[문은숙/소비자시민모임 기획처장 :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선 중에서도 내장을 참 많이 먹습니다. 그런데 생선 중에서도 내장이 다이옥신이 더 많이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이러한 내장 섭취를 좀 줄여야 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쇠고기 4, 닭고기 3, 돼지고기 2 피코그램 티이큐처럼 육류만 기준이 있을 뿐 어류 기준치는 아예 없습니다.

정호선 hosun@sbs.co.kr



바이크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