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저녁 신문을 보던 남편이 아내를 불렀다.
"여보, 이것 좀 봐. 여자들이 남자보다 2배나 말을 많이 한다는 통계가 실렸네! 남자는 하루 평균 1만5천 단어를 말하는데, 여자들은 3만 단어를 말한다는 거야!"
이 말을 들은 아내가 말했다.
"남자들은 여자가 늘 똑 같은 말을 두 번씩 하게 만들잖아요. 그러니까 두 배지!"
약 3초 후에 남편이 아내를 향해 물었다.
"어, 뭐라고?"
경청의 가장 낮은 수준을 이르는 말로, '배우자 경청(Spouse Listening)'이란 용어가 있다. 신문이나 TV를 보면서 건성으로 듣는 것, 심지어 "좀 조용히 해봐" 하는 식으로 말을 종종 가로막기까지 하는 경청의 태도가 바로 배우자 경청이다.
우리가 가장 가까운 사람의 말을 얼마나 안 듣고 있으면 이런 용어가 생겨났을까, 아이러니를 느끼게 된다. '수동적 경청(Passive Listening)'이란 상대의 말을 가로막지는 않지만, 공감도, 주의 집중도 없이 그저 상대가 말하도록 놓아두는 경청이다.
수동적으로 경청되면 말하는 사람도, 말하고 있는 주제에 집중을 못하고, '어디까지 말했더라?'하고 산만하게 된다. 이런 수준에서는 말을 하면서 생각을 정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해내기가 어렵다.
'적극적 경청(Active Listening)'은 말하는 사람에게 주의를 집중하고, 공감해주는 경청이다. 상대방과 눈을 맞추고 고개를 끄덕이며, "저런! 그래서 어떻게 되었는데요?" 하는 추임새를 넣으면서 듣는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경청해주면 말하는 사람은 신이 나고 더 많은 아이디어를 얘기하게 되며 자신을 존중해주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적극적 경청보다 더 나아간 것이 '맥락적 경청(Contextual Listening)'이다. 말 그 자체만이 아니라, 그 말이 어떤 맥락에서 나온 것인가, 즉 말하는 사람의 의도, 감정, 배경까지 헤아리면서 듣는 것을 말한다.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우리가 하는 말은 정말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단지 7%만을 운반할 뿐이라고 한다. 나머지 93%의 의미는 그의 음성과 어조, 표정, 제스처 등에 실려 전달된다.
그러니 그 사람이 하는 말만을 피상적으로 듣는 것은 그야말로 거대한 빙산의 전체를 헤아리지 못하고, 수면 위에 드러난 빙산의 일각만을 보는 것과 같은 것이다.
또 경청은 대화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똑같이 시작된 얘기도 공감해주며 더 깊게 이해해주면, 말하는 사람은 훨씬 더 깊은 이야기로 진전시킨다.
반대로 건성으로 듣거나, 즉자적인 반응을 하기 위해 들으면 말하는 사람은 원래 하려고 했던 이야기의 절반도 하지 않고 돌아선다.
그러기에 잘 들어주는 것은 우리가 타인에게 줄 수 있는 귀중한 선물이다. '옳다, 그르다' 판단하지 않고 그의 입장을 공감해주는 것만으로도 거의 치유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사와 부모가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이 경청인 이유이다.
기분이 언짢을 때, 속상한 일이 있을 때, 누군가 내 얘기를 진지하게 들어만 줘도 감정이 많이 사그러들 때가 있습니다. 적극적 경청(Active Listening)의 효과입니다.
남의 얘기를 진지하게 들어줄 수 있다는 것, 사실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입니다. 하지만 대인관계에 있어 말을 하는 것보다 신뢰구축에 있어 더욱 중요한 것이 이것입니다.
적극적 경청(Active Listening)은 상대방에 대한 존중의 태도입니다. 인간관계에서의 불협화음은 어쩌면 적극적 경청을 하지 않는 데서 비롯된다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좋흔 사례가 대한민국 국회 모습입니다. 도대체 이 인간들은 상대방의 말을 들으려 하지를 않습니다. 제 얘기만 합니다. 그리고 제멋대로 평가를 합니다.
그러니 여.야간 대화를 될 리 만무합니다. 가정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상대방의 얘기를 귀담아 듣지는 않으면서 자기 주장만 펴면 가정불화가 일어나는 겁니다.
요즘 직장내에서의 대화 행태를 보면 국회 모습을 연상케 만드는 경우를 종종 목격하게 됩니다. 자기 주장만 하고선 상대방의 얘기는 아예 들으려 하지도 않는 대화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염려스러운 것은 이런 행태가 상사가 그러는 것이 아닌 부하직원이 더 그런 행태를 보인다는 사실입니다. 언제부터인가 나타난 우리의 자화상입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룹명 > 추억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손으로 돌아갈 인생 (0) | 2007.11.26 |
---|---|
소기(小朞), 대기(大朞)가 아닌 소상(小祥), 대상(大祥)으로 표기해야 (0) | 2007.11.25 |
서로 위하는 마음 (0) | 2007.11.14 |
행운이오는방법 (0) | 2007.11.13 |
성숙한 사랑은 (0) | 2007.11.06 |